D-1551
한국 농촌 개발의 역사
정수환
신청 기간 2024.10.20 ~ 2029.06.30
학습 기간 2024.10.20 ~ 2029.06.30
강좌 언어
한국어
강의 길이
6 주
권장 학습 시간
2 시간
이수증 제공 여부
제공
강좌소개
조선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농촌개발의 역사적 과정을 다룬다.
조선시대 마을 결사체의 호혜와 협동 활동을 살펴보고, 1970년대 새마을 운동 및 현대 한국의 농촌개발 프로그램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며, 한국이 국제 농촌개발 프로그램의 공여국으로서 직면한 도전과 방향성을 모색한다.
이를 통해 수강생들은 농촌개발의 과거와 현재, 미래를 연결하는 흐름 속에서 역사학, 경제학, 국제개발학의 시각으로 현상을 한국 농촌개발을 입체적으로 국제적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될 것이다.
교수
정수환
1. 소속(Affiliation): 한국학중앙연구원(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2. 최종 학력(Education): 한국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The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3. 대표 연구(Selected Publication)
「조선후기 노비와 상전의 이해 -‘충(忠)’과 ‘이(利)’ 그리고 호혜와 시혜」, 『청계사학』 27, 2024;「조선후기 서얼의 마을 개발과 결속 - 경주 여주이씨 옥산동 동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100, 2022. 외 다수
2. 최종 학력(Education): 한국학대학원 졸업(문학박사) (The Graduate School of Korean Studies,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3. 대표 연구(Selected Publication)
「조선후기 노비와 상전의 이해 -‘충(忠)’과 ‘이(利)’ 그리고 호혜와 시혜」, 『청계사학』 27, 2024;「조선후기 서얼의 마을 개발과 결속 - 경주 여주이씨 옥산동 동계를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 100, 2022. 외 다수
조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keka@snu.ac.kr
이수 기준
진도율 | 성적 |
---|---|
60% |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