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815
한국인의 음식과 일상
오창현
신청 기간 2022.11.16 ~ 2027.06.30
학습 기간 2022.11.16 ~ 2027.06.30
강좌 언어
한국어
강의 길이
12 주
권장 학습 시간
2 시간
이수증 제공 여부
제공
강좌소개
<한국인의 음식과 일상>은 한국인이 선호하는 음식과 그 재료를 중심으로 한국인의 일상과 문화를 살펴보는 강좌이다.
본 강좌에서는 한국인이 오래전부터 논, 산, 바다에서 재배하거나 수렵, 채집해 온 다양한 산물을 다룬다.
한반도에서 각 산물에 부여해온 상징적 의미나 사회적 장면에서 각 산물이 상징적 가치를 가지고 소비되는 양상을 검토한다. 또, 이러한 산물을 생산하고 유통해온 사람들의 일상과 그 변화 양상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다룬다.
본 강좌를 수강함으로써 한국의 음식문화뿐 아니라,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일상과 그 변화에 대한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본 강의는 12주차로 52개 강의로 구성되어 있으며, 자막은 한국어, 영어, 중국어 총 3개국어로 제공됩니다.
교수
오창현
1. 학력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박사)
2. 소속 및 직책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조교수
3. 주요 경력
지역문화연구소 이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4. 대표 논문 및 저서
오창현 (2021), 「왕손 사대부 집안의 충남 당진 어살터 지배와 분쟁 배경에 대한 연구-서울대 규장각 소장 17~20세기 충남 당진 어전 문서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24(2), 397-435.
오창현 (2020), 「魚, 漁業技術, 民族慣習-植民地期の漁業経済構造に関する経済人類学的研究」,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221, 55-81.
오창현 (2018), 「한국 멸치 소비 문화에 관한 일상의 민속학: 한일 멸치 어업기술의 전파와 수용에 따른 식생활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51(3), 109-158.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석사)
서울대학교 인류학과 졸업(박사)
2. 소속 및 직책
목포대학교 고고문화인류학과 조교수
3. 주요 경력
지역문화연구소 이사
국립민속박물관 학예연구사
4. 대표 논문 및 저서
오창현 (2021), 「왕손 사대부 집안의 충남 당진 어살터 지배와 분쟁 배경에 대한 연구-서울대 규장각 소장 17~20세기 충남 당진 어전 문서를 중심으로」, 『지방사와 지방문화』24(2), 397-435.
오창현 (2020), 「魚, 漁業技術, 民族慣習-植民地期の漁業経済構造に関する経済人類学的研究」, 『国立歴史民俗博物館研究報告』221, 55-81.
오창현 (2018), 「한국 멸치 소비 문화에 관한 일상의 민속학: 한일 멸치 어업기술의 전파와 수용에 따른 식생활 변동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인류학』51(3), 109-158.
조교
한국경제와 K학술확산 연구센터
이메일 : keka@snu.ac.kr
이수 기준
진도율 | 성적 |
---|---|
60%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