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정 안내
서양근대철학 (2016)
-
강좌 정보 및 소개
서양근대철학의 의의와 등장 배경
서양근대철학의 의의
근대철학의 등장 배경: 1) 전통적, 신학적 세계관
근대철학의 등장 배경: 2) 새로운 과학적 세계관
전통적인 아리스토텔레스주의 과학의 특징
데카르트 1
아리스토텔레스주의 과학의 특징과 문제점
질의응답
데카르트 소개, 《성찰》의 집필 배경
〈제 1성찰〉 소개
데카르트 2
- 〈제 1성찰〉, 〈제 2성찰〉
지난 강의 복습
〈제 1성찰〉 - 꿈의 논증
〈제 1성찰〉 - 악령의 가설
〈제 2성찰〉 소개
데카르트 3
- 〈제 3성찰〉
〈제 1성찰〉 질의응답
〈제 2성찰〉 질의응답
〈제 3성찰〉 도입부 함께 읽기
〈제 3성찰〉의 구조
데카르트 4
- 〈제 3성찰〉
〈제 3성찰〉 - 신 존재 증명이 필요한 이유
〈제 3성찰〉 - 데카르트의 순환
〈제 3성찰〉 - 신 존재 증명의 예비적인 논의들
데카르트 5
- 〈제 3성찰〉, 〈제 5성찰〉
지난 강의 복습
〈제 3성찰〉 - 신 존재 증명
〈제 4성찰〉 요약
〈제 5성찰〉 - 물질의 본질
데카르트 6
- 〈제 6성찰〉
〈제 6성찰〉 - 외부세계 존재증명 (1)
〈제 6성찰〉 - 외부세계 존재증명 (2)
〈제 6성찰〉 - 실제적 구분 논증 (1)
데카르트 7
- 심신상호작용의 문제
심신상호작용의 문제 소개
심신상호작용의 문제에 대한 근대의 세 가지 견해
질의응답
스피노자 1
스피노자 소개
스피노자 철학의 특징
질의응답
〈에티카〉 1부
스피노자 2
- 유일실체론 증명
유일실체론 증명
〈에티카〉 1부 명제 5
구별불가능자의 동일성 원칙
명제 5에 대한 라이프니츠의 반례
스피노자 3
- 라이프니츠의 반례, 필연주의
라이프니츠의 반례: 1) 속성에 대한 스피노자의 견해
라이프니츠의 반례: 2) 스피노자가 제시할 수 있는 해결책
질의응답
필연주의
스피노자 4
- 필연주의, 평행주의
라이프니츠 1
스피노자의 필연주의
스피노자의 평행주의
라이프니츠 소개 (1)
라이프니츠 2
- 연장의 비실체성 논변
라이프니츠 소개 (2)
연장의 비실체성 논변: 1) 라이프니츠의 물체론
연장의 비실체성 논변: 2) 1번 전제 검토
질의응답
라이프니츠 3
- 완전개체개념, 우연성의 문제
라이프니츠의 술어함축진리론
질의응답
우연성의 문제: 1) 그 자체로 가능했던 대안들
우연성의 문제: 2) 무한분석이론
라이프니츠 4
- 필연주의의 위협, 악의 문제, 보편표현테제
이 세계는 필연적인가?
악의 문제
보편표현테제
질의응답
로크 1
- 본유관념에 대한 비판
로크 소개
본유관념(innate idea)에 대한 비판 (1)
본유관념(innate idea)에 대한 비판 (2)
질의응답
로크 2
- 1차 성질과 2차 성질의 구분
1차 성질과 2차 성질의 구분
표상주의적 실재론과 직접 실재론
물체와 생명체의 동일성 기준
로크 3
- 인격체의 동일성
/ 버클리 1
인격체의 동일성 기준
의식의 연속성 기준의 문제점: 1) 거짓 기억의 문제
의식의 연속성 기준의 문제점: 2) 전이성의 위배 문제
버클리 소개
버클리 2
- 표상주의적 실재론 비판
원리론 4절의 논증
유사성 원리(Likeness Principle)와 최상의 설명으로의 추론
The Master Argument
버클리 3
- 직접 실재론 비판, 관념론
직접 실재론 비판
버클리의 관념론
버클리의 관념론에 대해 제기될 수 있는 의문들
질의응답
흄 1
- 경험주의와 모사 테제
흄 소개
흄의 윤리학
흄의 경험주의
모사 테제(Copy Thesis)
흄 2
- 모사 테제의 반례, 귀납의 문제
모사 테제의 반례 - Missing Shade of Blue
연관 원칙(Principle of Association)과 판단의 구분
관찰되지 않은 경험적 사실에 대한 회의주의 논변
흄 3
- 귀납의 문제, 흄의 해결책 / 칸트 1
회의주의 논변 복습
회의주의 논변에 대한 흄의 해결책, 초랑의 역설
칸트 소개
칸트 2
- 칸트 인식론의 기본개념들
칸트 인식론의 기본개념들
현상계와 예지계
질의응답
칸트 3
- 선험적 종합판단은 어떻게 가능한가?
감성과 지성
시간/공간의 경험적 실재성과 초월적 관념성
선험적 종합판단은 어떻게 가능한가?
질의응답
칸트 4
-수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물 자체의 문제
수학과 자연과학은 어떻게 가능한가?
질의응답: 1) 물 자체의 문제
질의응답: 수업을 마치며
-
교수 정보
- 강좌코드 : 2020_80_A_2016_002_001_2020_2
- 과정 : 서양근대철학
- 주수 : 26
- 수강가능수 : 100000
- 학점 : 0
- 언어 : 한국어 (ko)
- 태그 : 서양근대철학, 이석재, CORE, K-MOOC, 학내